"13월의 보너스" 근로장려금, 혹시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
매년 5월이면 종합소득세 신고 때문에 머리 아픈 분들 많으시죠? 저도 그런데요. 😂 그래도 5월이 마냥 싫지만은 않은 이유가 있어요. 바로 '13월의 보너스'라고 불리는 근로장려금 시즌이기 때문이죠!
열심히 일은 하는데 통장 잔고가 아쉬운 분들을 위해, 나라에서 "고생 많으셨어요!" 하고 격려금처럼 챙겨주는 제도예요. 최대 3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니, 정말 쏠쏠하지 않나요?
근데 이게 조건이 은근히 까다로워 보여서 '에이, 나는 안 되겠지' 하고 그냥 넘어가는 분들이 정말 많더라고요. 그래서 2025년 기준으로 누가, 얼마나,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친구한테 설명해주듯 한번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 근로장려금이 도대체 뭔가요?
쉽게 말해서, 소득은 좀 적지만 꾸준히 일하는 분들께 나라에서 생활에 보탬이 되라고 현금으로 지원해주는 거예요. 단순히 쉬고 있는 분들께 드리는 게 아니라, 일을 한다는 전제가 있어서 더 의미가 있는 돈이죠. (참고로 아이 키우는 집에 주는 '자녀장려금'과는 다른 거예요!)
✅ 내가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법 (딱 3가지만 체크!)
작년(2024년) 기준으로 아래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신청할 수 있어요.
1. 우리 집은 어떤 형태? (가구 기준) 아래 셋 중 하나에 해당하면 OK!
- 나 혼자 산다! (단독 가구): 배우자도, 부양할 자녀나 가족도 없는 1인 가구.
- 나 혼자 번다! (홑벌이 가구): 배우자나 부양가족이 있는데, 배우자의 1년 소득이 300만 원이 안 되는 경우. (사실상 혼자 버는 거죠)
- 둘이 같이 번다! (맞벌이 가구): 나랑 배우자 둘 다 소득이 연 300만 원을 넘는 경우.
2. 작년에 얼마나 벌었나? (소득 기준) 작년 한 해 동안 번 돈이 이 금액을 넘지 않아야 해요.
- 단독 가구: 2,200만 원 미만
- 홑벌이 가구: 3,200만 원 미만
- 맞벌이 가구: 3,800만 원 미만
3. 재산은 얼마나 있나? (재산 기준) 2024년 6월 1일 기준으로, 우리 가족이 가진 재산을 다 합쳐서 2억 4천만 원 미만이어야 해요. 여기에는 집, 땅, 자동차는 물론이고 예금, 주식, 회원권까지 거의 모든 재산이 포함돼요. 생각보다 꼼꼼하게 본답니다!
💰 그래서, 얼마나 받을 수 있는데요? (제일 중요!)
이게 소득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긴 하는데,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이래요.
- 1인 가구: 최대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최대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최대 330만 원
📌 꿀팁! 국세청 **홈택스(PC)나 손택스(앱)**에 들어가면 '장려금 모의 계산' 메뉴가 있어요. 이거 한번 돌려보면 내가 대충 얼마 받을 수 있을지 미리 알 수 있으니 꼭 해보세요! 이게 제일 정확해요.
📅 놓치면 1년 기다려야 해요! 신청 기간 & 방법
이거 정말 중요한데, 신청 기간을 놓치면 내년까지 기다려야 하니 달력에 꼭 표시해두세요!
- 정기 신청 (5월에 한 번만!)
- 언제? 5월 1일 ~ 5월 31일
- 누가? 모든 대상 가구
- 언제 받나? 9월 말쯤 통장으로 쏙!
- 반기 신청 (월급쟁이들을 위한 옵션!)
- 상반기분: 9월 1일 ~ 15일 신청 → 12월에 지급
- 하반기분: 내년 3월 1일 ~ 15일 신청 → 6월에 지급
- (정기/반기 중 하나만 선택하는 거예요!)
✍️ 신청은 어떻게?
- 국세청에서 연락이 왔다! (강추👍)
- 문자나 우편으로 안내문 받으셨나요? 그럼 거의 99% 대상자입니다. 안내문에 있는 QR코드를 찍거나, **ARS 전화(1544-9944)**로 걸어서 안내대로 하면 5분도 안 걸려요!
- 연락은 안 왔지만, 직접 해보겠다!
- PC 홈택스나 스마트폰 손택스 앱에 로그인해서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메뉴를 찾아 클릭하면 끝!
마무리하며... 받을 수 있는 돈, 꼭 챙기세요!
근로장려금은 그냥 주는 돈이 아니라, 성실하게 살아가는 우리들을 위한 정부의 '응원 메시지' 같은 거라고 생각해요.
조건이 복잡해 보여서 지레 포기하지 마시고, 특히 국세청에서 안내문이 왔다면 '나는 해당되나 보다!' 하고 꼭 신청해보세요. 혹시 안내문이 안 왔더라도 '혹시?' 하는 마음이 든다면 밑져야 본전이니 홈택스에서 모의 계산이라도 꼭 한번 해보시고요!
1년에 한 번뿐인 기회, 놓치지 말고 꼭 챙겨서 쏠쏠한 보너스 받으시길 바랄게요! 화이팅! 💪
'💼 직장인 퇴사자 필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중 알바, '이것'만 신고하면 부정수급 절대 아닙니다 (2025년 기준) (0) | 2025.06.22 |
---|---|
13월의 월급, 연말정산으로 두둑하게 챙기는 3가지 비법 (2025년 최신) (2) | 2025.06.19 |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경정청구'로 5년치 세금 1000만원 환급받는 법 (0) | 2025.06.15 |
"자발적 퇴사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2025년 실업급여 조건, 신청 방법, 지급액 총정리 (2) | 2025.06.12 |
2025년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보험료 폭탄 피하는 5가지 합법적인 방법 (총정리) (1) | 2025.06.11 |